광장 국제통상연구원(Global Commerce Institute, GCI)은 2017년 「법무법인(유) 광장」이 국내 대형 로펌 최초로 설립한 국제통상 분야의 전문 연구·교육 및 분석기관입니다. 개원 이래 주요국의 산업·통상 입법과 변화되는 국제 통상 규범을 면밀히 분석하고,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여 정부와 기업의 자문 요청에 성실히 응대해 왔습니다.
우리 연구원은 국내외 최고 통상 전문가와 법률가의 지식과 경험을 결합해 기업들이 직면한 국제통상 이슈에 맞춤형 해법을 제시하고, 심층 연구와 실무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변화하는 규범 환경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또한 다양한 정보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글로벌 통상 네트워크와 지식 축적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은 단순한 연구와 분석 기관을 넘어, 기업의 무역관련 애로해소는 물론 해외 진출과 투자 성공을 위한 든든한 동반자로 자리매김해 나가겠습니다. 국제통상 및 투자 분야의 불확실성을 기회로 바꾸는 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이 함께 합니다.
대표사례
발간물
이슈브리프 (2024-2025)
분석자료
- "미국 외국인 투자 심사 제도 (CFIUS) 가이드북" (2023.4)
- "미국의 對러시아 수출통제 조치 해설서" (2022.4)
- USMCA 원산지 규정 해설서: 자동차ㆍ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2020.10)
세미나/포럼 개최 (2024-2025)
국내 외부 자문위원
- 강준하 (홍익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고준성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박태호 (서울대 국제대학원 명예교수, 前 광장 국제통상연구원 원장)
- 윤영관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前 외교통상부 장관)
- 정철 (한국경제연구원 원장, 前 KIEP 부원장)
- 채욱 (연세대 글로벌인재대학 객원교수/前 KIEP 원장)
- 허윤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해외 외부 자문위원
- Barfield, Claude (AEI, U.S.)
- Cutler, Wendy (Asia Society Policy Institute, U.S.)
- Emerson, Eric (Steptoe, U.S.)
- Hoekman, Bernard (EUI, Italy)
- Lee-Makiyama, Hosuk (ECIPE, Belgium)
- Messerlin, Patrick (Sciences Po, France)
- Miroudot, Sebastien (OECD)
- Schott, Jeffrey (PIIE, U.S.)
- Tu, Xinquan (China Institute for WTO Studies, China)
- Urata, Shujiro (RIETI, Japan)
이슈브리프 전체 목록
2023년
- 국제통상에 영향을 미치는 외국 경쟁법 입법 동향: 미국과 EU의 사례 분석
- EU의 新통상법 추진 동향과 우리의 대응
- [Special Issue Brief] The Reorganization of Global Supply Chains in a Changing World
- 2023년 글로벌 경제통상환경 전망과 대응
2022년
- 국가안보 차원에서의 해외투자심사제도의 도입 추진 및 평가와 전망: 미국의 입법 동향을 중심으로
- [Special Issue Brief]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주요 내용과 우리 기업에 대한 시사점
- [Special Issue Brief] 미국 위구르 강제노동방지법(UFLPA) 해설 및 우리 기업에 대한 시사점
- 대(對) 러시아 제재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대응 전략
- 2022년 글로벌 통상환경 전망과 대응
- EU 탄소국경조정세 (CBAM)의 시사점과 대응 방안
2021년
- The U.S.-China Strategic Confrontation on Trade: How Supply Chains Became Strategic National Resources under Trump, and How the Biden Administration Will Continue and Expand That Policy
- CPTPP와국영기업
- [Special Issue Brief] '디지털무역(Digital Trade)'에 관한 새로운 국제규범의 형성: 양자 '디지털무역협정'의 등장과 최근 논의 동향
- 미국과 EU의 탄소국경세 도입 동향과 우리 정부 및 기업의 대응
- 중국 수출통제법을 통해 본 중국 통상환경 동향
- [Special Issue Brief] 브렉시트 이후 영국 및 EU의 대외통상정책 전망과 한국의 대응
- 2021년 글로벌 통상환경 전망과 대응방향
2020년
- [Special Issue Brief] RCEP 서명의 의미와 시사점
- [Special Issue Brief] 바이든 당선자의 통상정책에 대한 워싱턴과 브뤼셀의 시각
• Trade Policy of the Biden Administration of the US and the Implications to the Korea-US Trade Relations
• Biding Time for Biden’s New Trade Agenda
- The Reshuffle of GVCs in the Era of US-China Decoupling and COVID-19
-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Global Value Chain 현황과 변화 전망
- USMCA 발효의 의미와 한국에의 시사점
- 포스트 COVID-19 시대의 중국의 외국인 투자제도
- [Special Issue Brief] The USMCA: An Introduction to the Rules of Origin for Passenger Vehicles and Light Trucks
- Brexit: The imminent crisis in the EU-UK trade negotiat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Korea
- 우리나라 기업지원프로그램의 보조금 특정성 사례분석 및 시사점
- 2020년 글로벌 통상여건의 불확실성과 대응방향
- [Special Issue Brief] 미-중 경제ㆍ무역협정: 주요 내용 및 분석
2019년
- [Special Issue Brief] 프랑스의 디지털세 도입에 맞선 미국의 무역법 301조 조사 개시: 디지털세 관련 국제 규범 논의 동향 및 시사점
- [Special Issue Brief] 일본의 전략물자 수출통제와 우리기업의 대응방향
- 다시 숨 고르기에 들어간 미중(美中) 무역분쟁, 그 다음 수순은?
- 미중(美中) 무역협상 동향과 우리 기업의 대응
- Trade Policy Implications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 미국 보호무역조치의 새로운 무기(new weapon), 통화보조금: WTO 보조금 협정 합치성 분석을 중심으로
- BREXIT의 배경, 현황 및 전망
- BREXIT에 대비한 “무역연속성협정”: 영국-칠레 간 협정 분석을 중심으로
- WTO 개혁 논의: 상소기구 개혁을 중심으로
- CPTPP on the Go: Next Step is Enlargement
- The USMCA: What it Tells us about U.S. Trade Policy and What it Means for Korea
- 미국의 독자적 경제 제재와 기업의 딜레마
2019년
- Targeting China
- Moving from One Landmark to the Next: What the New EU-Japan EPA Means for Korea/li>
- 국제통상과 안보: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를 중심으로/li>
- 최악의 세계무역환경과 우리의 대응/li>
-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수입규제 현황과 평가/li>
- EU의 무역구제규범의 현대화: 최근 규범 개정에 대한 분석 및 WTO 합치성 검토/li>
세미나/포럼 개최 (전체)
더보기